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

(78)
맥쿼리인프라 배당의 좋은 점 주식투자를 하고 배당주를 가지고 있다가 배당을 받아 본 사람은 알 것이다. 배당락을 당하고 배당금을 받을때까지 기간이 정말 길다. 보통 4월 초부터 지급이 되니깐 90일에서 120일 정도는 기다려야 한다. 그래서 그 기간 동안에는 계좌가 12월 평가액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마이너스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나중에 들어온다는 것은 알지만 이 기간에 계좌를 들여다 보면 괜히 기분이 나빠지기도 한다. 그런데, 배당금을 엄청나게 빨리 주는 주식이 있다. 바로 맥쿼리인프라다. 이 주식의 배당금(정확히는 분배금)은 늦어도 2월 마지막 주에는 나온다. 약 50일 정도면 나오니깐 다른 주식들에 비해서 기간이 반 밖에 되지 않는다. 돈이 빨리 들어오므로 그 돈을 가지고 CMA 이자를 받을 수도 있고 다른 투자를 할 수도..
2010년 유한양행 무상증자 단주매각대금 입금일 유한양행은 해마다 배당과 함께 5% 무상증자를 실시한다. 20주를 가지고 있으면 1주를 받을 수 있다. 만약에 가지고 있는 주식이 20주로 딱 떨어지지 않으면 그 비율만큼 현금을 지급받는데 그걸 단주 매각대금이라고 한다. 유한양행은 다른 회사에 비해 배당된 주식이나 배당금, 단주매각대금 등이 빨리 들어오는 편이다. 이점은 투자하는 입장에서 매우 좋다. 올해 유한양행 단주매각대금은 2011년 1월 21일날 지급된다. 연초에 주식게시판을 가끔 둘러보면 배당금 언제 나오냐, 배당금이 얼마냐는 글이 상당히 많다. 증권사 HTS에서 내 계좌의 권리발생현황을 조회해 보거나 증권예탁결제원에서 조회해 보면 된다. 아직 나오지않은 정보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물론 담당자가 늦게 업데이틑 하는 경우도 많다. [..
채권몰에서 회사채 발행정보 확인하기 - 채권 전에 채권 매수하는 방법 중에 하나를 소개한 적이 있는데, [정보] - 동양종금증권에서 고수익 채권 매수하기 가만히 생각해 보니 채권 발행 정보에 관해서는 쓴 적이 없는 것 같아 그에 관해서 써보려고 한다. 일단 채권몰이라는 좋은 사이트가 있다. http://www.bondmall.or.kr/ 이곳에 가면 각종 채권 정보를 대부분 얻을 수 있다. 아무튼. 사이트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저 중에서 부가 정보를 선택 한다. 그러면 바로 주간 호사채 발행계획 정보가 나오는데, 이 자료는 매주 올라온다.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자료를 엑셀 파일로 받아 볼 수 있다. 이 파일에는 한 주간 발행되는 회사채들에 대한 정보가 상세하게 나온다. 표면이율(이자율), 발행일, 만기일, 신용등급, 살 수 있..
2010년 배당 확정일 및 배당락 일자 이 블로그에 배당 및 배당락에 대한 키워드로 유입되는 사람이 꾸준하다. 배당에 대한 글을 몇번 쓴 적이 있어서 그렇다. 알고 보면 별거 아닌데 처음 접하면 조금 헷갈린다. 나도 검색 많이 했었다. 2010년 배당을 받으려면 위와 같이 12월 28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서 들고 있어야 한다. 29일이 되면 예상 배당금액만큼 주가가 내려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고 이날 부터 주식을 팔아도 배당과는 아무 상관 없다. 30일은 2010년 마지막 거래일이다. 31일은 개장 안 한다. 보다 일반적인 내용은 예전에 쓴 적이 있다. [정보] - 배당락, 언제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나? HTS 없이 예전 배당금을 알아 보고 싶으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정보] - 증권예탁결제원 상장사 배당금조회
유한양행 무상증자 단주매각대금 입금일 작년에 유한양행을 처음 매수해봤다. 유한양행은 매년 5% 무상증자와 1000원 배당을 실시하는 제약회사다. 근데 15일에 무상증자 주식이 상장 되는 것은 공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었는데, 단주매각대금은 언제 들어오는지 알 수가 없었다. 온라인으로 공시 등을 아무리 뒤져봐도 안 나왔다. 그래서 들어올때 되면 들어오겠지 했는데, 오늘 우편함을 보니 이런게 와 있었다. 21일날 들어 오는구나.. 얼른 HTS를 켜서 거래내역을 확인해 보니.. 21일날 들어 왔다. 보통 상장하고 일주일 정도 걸리나 보다. 배당투자를 하면 배당금이 들어올때까지 무척 긴 시일이 걸려서 그 동안 배당금을 투자에 활욜할 수가 없는데, 예전 공시를 보니 유한양행은 배당금 지급도 다른 회사보다 조금 빠른 편인 것 같다.
코스피 지수와 반대로 가는 ETF : KODEX 인버스 ETF 지난주에 미래에셋에 들어가니 눈의 띄는 ETF 상장 공지가 하나 있어서 들여다 봤다. KODEX 인버스 ETF(KODEX Inverse ETF, 종목코드 114800, 삼성투신운용).. 들여다 보니 코스피200 지수 를 기초기수로 해서 반대로 추종(일별 수익율 -1배로 연동)하는 상품이다. 그러니까 코스피200 지수가 1% 오르면 KODEX 인버스 ETF 는 1% 내리고, 반대로 코스피200 지수가 1% 내리면 KODEX 인버스 ETF 는 1% 오른다. 물론 ETF는 장중에 거래 되므로 정확히 따라가지는 못한다. 그동안은 하락장 투자를 하려면 옵션, 선물, 대주거래, ELW 등 레버리지 있는 상품에 별도 절차를 거친 후에 투자해야 했지만 이제는 그냥 주식 거래하듯이 할 수 있게 됐다. -1배수라 레버리지..
CMA 금리가 슬슬 올라간다. 기준금리는 아직 안 올랐으나 시중 금리는 조금씩 오르고 있다. 미래에셋도 며칠전 MMW형 CMA의 금리를 올린다고 공지 했다. MMW형은 매일매일 재투자 되기 때문에 금리가 오르면 바로 적용된다. 슬슬 게임이 시작되는 것 같다.
동양종금증권에서 고수익 채권 매수하기 금리가 바닥인듯 하다. 금리 상승기에 채권투자는 바보 짓이지만 예금 대용으로 고금리 채권을 매수하는 건 포트폴리오 유지 차원에서 괜찮은 것 같다. 만기까지 보유하면 등락에 상관없이 이자와 원금이 나온다. 보통 정기예금 금리 보다는 2~3%포인트 정도 수익이 더 높다. 내가 동양종금증권을 이용하고 있으니 동양종금을 예로 채권매수하는 법을 설명하겠다. 일단 동양종금증권 홈페이지에 들어간다.(기본적으로 계좌를 트고, 증권용 공인인증서도 있어야 한다.) 오른쪽 위에 금융상품몰을 클릭한다. 금융상품몰 페이지에서 채권/금융상품 > 채권 > 고수익회사채 를 선택한다. 나오는 상품 중에 투자기간과 투자수익율을 확인해 알맞은 상품을 선택해 매수하기를 클릭한다. ( 금리 표시가 세가지 나오는데, 은행금리와 직접 비교 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