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킴벌리 클라크 2022년 분기 배당금 $1.14에서 $1.16로 증가
- 지난 2022년 1월 26일에 킴벌리 클라크 Kimberly-Clark (NYSE:KMB)가 배당금 증액을 공시했다. 분기당 배당금이 $1.14에서 $1.16로 전 분기 대비 1.75% 증가하고, 연간 지급 배당금은 전년도 대비 2.90% 증가한다.
-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은 3월 3일이고, 배당금 지급일(Payment Date)은 4월 4일이다.
- 킴벌리 클라크는 1973년부터 50년 연속으로 배당금을 증액하고 있다.
- 킴벌리 클라크 Kimberly-Clark 연도별 배당금
- [차트] Kimberly-Clark Dividend Growth Chart List
킴벌리 클라크 배당금 및 배당성장률 차트 (2003년~2022년)
- 킴벌리 클라크의 2022년 기준 1, 3, 5, 10년 연평균 배당성장률은 2.90%, 4.15%, 3.82%, 4.69%이다.
- 킴벌리는 배당성장률이 높지는 않지만 배당 성장 자체는 매우 안정적이다.
킴벌리 클라크 배당수익률 및 주가 상승률 차트 (2012년~2022년)
- 최근 5년 배당수익률 범위 : 2.65% ~ 3.91%
- 포스팅일 기준, 킴벌리 클라크의 1, 3, 5, 10년 연평균 주가상승률은 8.40%, 9.85%, 3.45%, 7.55%이다.
- 킴벌리의 주가상승률은 5% 이하다. 배당수익률은 3.0~3.5% 수준으로 높은 편이다. 하지만 뭔가 그리 매력적이지는 않다.
킴벌리 클라크 PER 차트 (2012년~2022년)
- 매력적이지 않은 이유는 생각보다 벨류에이션이 낮지 않다. 지금 수준의 배당수익률과 성장률이면 PER 15배 이하여야 할 것 같은데 현재 20배가 넘는다.
킴벌리 클라크 EPS & 성장률, 배당성향 차트 (2012년~2022년)
- 모든 문제는 EPS 성장이 거의 없다는 것에 있다. 컨센서스도 직전 4개 분기보다 낮은 수준이다
- 포스팅일 기준, 킴벌리 클라크의 1, 5년 연평균 EPS 성장률은 -15.20%, -1.80%이다.
- 주의 : 오차 있음. 추정치도 포함될 수 있음.
킴벌리 클라크 매출 및 매출성장률 차트 (2005년~2021년)
- 킴벌리의 매출은 사실상 성장하지 않고 있다. EPS가 조금씩이라도 오르고 있었던 것은 대부분 자사주 매입의 효과다. 데이터 상으로 보면, 킴벌리는 성장을 못하는데 주가가 미친듯이 싼 것도 아니어서 당분간 경쟁력이 없어 보인다.
킴벌리 클라크 ESG 등급
- 킴벌리 클라크 ESG 페이지 : https://www.kimberly-clark.com/en/esg
- 킴벌리 클라크의 ESG 리스크 등급 (ESG 스코어, ESG 등급, ESG Ratings, ESG Scores)은 Medium(222)로 나쁘지 않은 정도다. 다만 동종업계 내에서는 괜찮은 수준으로 보인다.
- ESG 설명 (투자자 입장에서 본 의미)
반응형
'US.dividend > Ch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랙터 서플라이 2022년 배당금 76.92% 증액 (NASDAQ:TSCO) (0) | 2022.01.30 |
---|---|
피델리티 인포메이션 서비스 2022년 배당금 20.51% 증액 (NYSE:FIS) (0) | 2022.01.30 |
인텔 2022년 배당금 5.04% 증액 (NASDAQ:INTC) (1) | 2022.01.28 |
셰브런 2022년 배당금 10.08% 증액 (NYSE:CVX) (0) | 2022.01.28 |
앤섬 2022년 배당금 13.27% 증액 (NYSE:ANTM) (0) | 2022.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