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스트코 2023년 분기 배당금 $0.9에서 $1.02로 증가
- 지난 2023년 4월 19일에 코스트코 Costco (NASDAQ:COST)가 배당금 증액을 공시했다. 분기당 배당금이 $0.9에서 $1.02로 전 분기 대비 13.33% 증가하고, 연간 지급 배당금은 전년도 대비 13.47% 증가한다.
-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은 5월 4일이고, 배당금 지급일(Payment Date)은 5월 19일이다.
- 코스트코는 2005년부터 19년 연속으로 배당금을 증액하고 있다.
- 코스트코 Costco 연도별 배당금
- [차트] Costco Dividend Growth Chart List
코스트코 배당금 및 배당성장률 차트 (2004년~2023년)
- 코스트코의 2023년 기준 1, 3, 5, 10년 연평균 배당성장률은 13.47%, 12.92%, 12.37%, 12.63%이다.
- 코로나 기간을 제외하면 평균 13% 대의 훌륭한 배당성장률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 물론 코로나 기간의 배당성장률로 평균 이상이기는 하다.
코스트코 배당수익률 및 주가 상승률 차트 (2013년~2023년)
- 최근 5년 배당수익률 범위 : 0.53% ~ 1.14%
- 포스팅일 기준, 코스트코의 1, 3, 5, 10년 연평균 주가상승률은 -16.78%, 15.61%, 20.48%, 16.22%이다.
- 코스트코 배당의 문제점은 주가가 높아서 배당수익률이 낮다는 것이지만, 배당성장률 자체가 지금처럼 유지된다면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코스트코 PER 차트 (2013년~2023년)
- 주가성장률이 높아서 PER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이건 부담 요인이다.
코스트코 EPS 성장률, 배당성향 차트 (2010년~2023년)
- 배당성장률의 근간인 EPS 성장률의 모습도 꾸준하다. 최근엔 배당성향이 낮아지는 현상까지 보이고 있다. 꾸준한 배당성장의 여력이 생겼다는 뜻이다.
- 포스팅일 기준, 코스트코의 1, 5년 연평균 EPS 성장률은 10.07%, 15.23%이다.
- 주의 : EPS 수치에는 오차가 있으며, 컨센서스 또는 추정치도 포함될 수 있다.
- EPS의 종류와 정의
코스트코 자사주 매입 소각 차트 (2005년~2023년)
- 지난 1년 동안 코스트코는 주식수가 약 0.06% 증가했다.
- 흥미로운 점은, 꾸준한 EPS 성장이 자사주 소각 없이도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건 지금보다 성장률이 낮아져도 자사주 소각을 통해 EPS 성장률을 유지할 여력이 있다는 뜻이 된다.
코스트코 MDD 차트 (2013년~2023년)
- 코스트코의 10년 평균 MDD는 -5.91%고, 52주 최저가 대비 평균 상승률은 26.47%다.
- 전고점을 회복하는데 평균 10.5주가 걸렸고, 최대 회복 기간은 54주였다.
코스트코 ESG 등급
- 코스트코 ESG 페이지 : https://www.costco.com/sustainability-introduction.html
- 코스트코의 ESG 리스크 등급 (ESG 스코어, ESG 등급, ESG Ratings, ESG Scores)은 Medium(236) 등급으로 리스크가 중간 정도로 평가받고 있다.
- ESG 설명 (투자자 입장에서 본 의미)
반응형
'US.dividend > Ch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2023년 배당금 0.61% 증액 (NYSE:IBM) (0) | 2023.04.26 |
---|---|
나스닥 2023년 배당금 10.00% 증액 (NASDAQ:NDAQ) (0) | 2023.04.21 |
존슨앤존슨 2023년 배당금 5.31% 증액 (NYSE:JNJ) (0) | 2023.04.19 |
서던 컴퍼니 2023년 배당금 2.94% 증액 (NYSE:SO) (0) | 2023.04.18 |
에이온 2023년 배당금 9.82% 증액 (NYSE:AON) (0)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