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이키 2023년 분기 배당금 $0.305에서 $0.34로 증가
- 지난 2022년 11월 15일에 나이키 NIKE (NYSE:NKE)가 배당금 증액을 공시했다. 분기당 배당금이 $0.305에서 $0.34로 전 분기 대비 11.48% 증가하고, 연간 지급 배당금도 전년도 대비 11.48% 증가한다.
-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은 12월 2일이고, 배당금 지급일(Payment Date)은 12월 28일이다.
- 나이키는 2002년부터 22년 연속으로 배당금을 증액하고 있다.
- 기업 정보 : 연도별 배당금
- 차트 : Dividend Growth
나이키 배당금 및 배당성장률 차트 (2004년~2023년)
- 나이키의 2023년 기준 1, 3, 5, 10년 연평균 배당성장률은 11.48%, 11.54%, 11.20%, 12.47%이다.
- 개인적으로 예측한 금액보다는 살짝 높게 배당금이 더 늘어났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매년 10% 이상 배당금을 늘려주는 주식에 계속 부합하고 있다.
나이키 배당수익률 및 주가 상승률 차트 (2012년~2022년)
- 최근 5년 배당수익률 범위 : 0.62% ~ 1.47%
- 포스팅일 기준, 나이키의 1, 3, 5, 10년 연평균 주가상승률은 -40.31%, 3.80%, 11.97%, 15.66%이다.
- 주가가 크게 올랐었지만, 그러니까 배당수익률이 크게 낮아졌었지만, 다시 예전 평균으로 회복했다. 아주 높지도 낮지도 않은 수준이다.
나이키 PER 차트 (2013년~2022년)
- PER도 다시 예전 수준으로 낮아졌다. 물론 아직 30배 이상으로 다른 주식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기는 하다. 하지만, 안정적인 평균 이상의 배당성장률과 그를 뒷받침하는 실적을 고려하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이다.
나이키 EPS 성장률, 배당성향 차트 (2012년~2023년)
- EPS 성장률은 충분히 안정적이다. 일시적으로 실적감소가 예상되지만, 컨센서스상 추세 회귀는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 나이키의 주가 패턴을 보면 일반적인 패션 기업이라기 보다는 럭셔리 굿즈 기업에 가까워 보인다.
- 포스팅일 기준, 나이키의 1, 5년 연평균 EPS 성장률은 -14.33%, 4.46%이다.
- 주의 : EPS 수치에는 오차가 있으며, 컨센서스 또는 추정치도 포함될 수 있다.
- EPS의 종류와 정의
나이키 자사주 매입 차트 (2005년~2022년)
- 자사주 소각 패턴도 꽤나 안정적이다.
나이키 MDD 차트 (2005년~2022년)
- Nike Inc의 10년 평균 MDD는 -9.13%고, 52주 최저가 대비 평균 상승률은 31.83%다.
- 전고점을 회복하는데 평균 19.4주가 걸렸고, 최대 회복 기간은 111주였다.
나이키 ESG 등급
- 나이키 ESG 페이지 : https://www.nike.com/sustainability
- 나이키의 ESG 리스크 등급 (ESG 스코어, ESG 등급, ESG Ratings, ESG Scores)은 Low(170) 등급으로 리스크가 낮은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 ESG 설명 (투자자 입장에서 본 의미)
반응형
'US.dividend > Ch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토로라 솔루션스 2023년 배당금 11.39% 증액 (NYSE:MSI) (0) | 2022.11.19 |
---|---|
로얄 골드 2023년 배당금 7.14% 증액 (NASDAQ:RGLD) (0) | 2022.11.18 |
타이슨 푸드 2022년 배당금 4.35% 증액 (NYSE:TSN) (0) | 2022.11.16 |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2022년 배당금 41.38% 증액 (NASDAQ:MCHP) (0) | 2022.11.15 |
코젠트 커뮤니케이션스 2022년 배당금 10.24% 증액 (NASDAQ:CCOI) (0) | 2022.11.13 |